본문으로 바로가기

CODINGRUN

전체보기 C언어 아두이노 IT-Tip HW/SW제품

아두이노 기초 13. 배열

배열(array)배열은 다수의 변수를 모아 놓은 것이다.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일일히 선언할 필요 없이 연이어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배열은 자료형이 동일한 데이터를 연이어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억공간 모임이다. 예를 들어 여러명의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변수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소수의 사람이면 상관없겠지만 수십, 수백명의 전화번호를 기억해야 한다면 어떤가? 수십 수백개의 int 자료형을 선언할 것인가? 이렇듯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해야하는 경우에 배열은 매우 유용하다. 배열의 선언 배열의 길이만 추가하면 일반 변수를 선언하는 것과 유사하다. 그대로 읽어보면 int형 변수 10개로 이루어진 arr배열을 선언한다.배열은 각각의 요소를 개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렇게 각 요소에 접근..

아두이노/기초 개념 2017. 1. 10. 16:10

아두이노 예제 5. 피에조 부저로 연주하기

피에조 부저(Piezo buzzer) 피에조 부저는 피에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작은 스피커이다. 피에조는 특정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결정체(수정, 전기석 등)의 표면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여기에 얇은 판을 붙여 미세한 떨림으로부터 소리가 나게 된다. 소리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지만 세밀하게 조작하면 음악도 연주할 수 있다. 피에조 부저는 극성(+, -)가 있다. 부저 윗면에 +라고 써져 있거나 조그만 홈이 파여있는 쪽에 +극을 연결하면 된다. 피에조 부저 옥타브별 음계의 주파수소리는 공기의 떨림으로 표현하는데 각 음계마다 고유의 떨림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1옥타브 도의 경우 32.7032라는 고유 진동수를 가지고 있어 피에조 부저를 1초에 대략 32번정도 진동시키면..

아두이노/기초 예제 2017. 1. 8. 13:41

아두이노 예제 4. 가변저항으로 led 밝기 조절하기

가변저항(Potentiometer) 가변저항이란 저항 값이 고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저항값을 줄이고 늘리면서 소리의 크기나 밝기 조절 등을 할 수 있는 것을 가변저항이라 한다.가변저항은 크게 위와같이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바꿔주거나 손으로 직접 돌려서 바꿀 수 있는 가변저항이 있다.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가변저항은 저항값을 자주 바꿀일이 없을 때 많이 사용하며(내부적인 부품등 으로), 손으로 직접 제어하는 가변저항은 저항 값을 자주 바꿀 때 사용한다(라디오나 밝기를 조절하는 전등같은 경우). analogWrite(), analogRead()analog값은 digital값과 다르게 HIGH, LOW가 아니라 조금 더 상세한 값을 지정할 수 있다. digital값은 5V(HIGH..

아두이노/기초 예제 2017. 1. 6. 17:29

아두이노 예제 3. RGB LED 제어하기

RGB ledRGB led는 단일 색을 내는 led와는 다르게 총 256가지의 색을 낼 수 있다. RGB led는 4가지의 핀으로 이루어져 있고, 순서대로 R, 공통 핀, G, B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공통 핀은 다이오드의 방향에 따라 공통양극, 공통음극으로 나뉘며, 공통양극일 경우 공통 핀에는 +극을, 공통 음극일 경우 공통 핀에는 -극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공통 양극일 경우 공통 핀에 VCC를 공통 음극일 경우 GND를 가하게 된다. 빛의 3원색 빛의 3원색은 빨강, 초록, 파랑의 3원색이며, 가법혼색의 기본색으로 빛의 색은 섞으면 섞을수록 밝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실습 내용각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빨간, 초록, 파란색을 표현해 보고, 여러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면 어떤 색이 나오는지 ..

아두이노/기초 예제 2017. 1. 5. 19:04

아두이노 예제 2. 스위치로 led 켜기, 끄기

스위치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스위치는 전등, TV, 스마트폰등에 다양하게 쓰이고, 접하기 쉬운 제어장치 이다. 스위치의 종류로는 푸쉬버튼 스위치, 슬라이딩 스위치, 토글 스위치, 딥 스위치 등등 수많은 스위치들이 있다. 우리는 이 중에서 푸쉬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를 사용하여 led를 제어해 보자. 주의점푸쉬버튼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에 1번과 3번, 2번과 4번으로 꽂지 않도록 주의한다.1번과 3번, 2번과 4번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쇼트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푸쉬버튼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각선으로 (1번에 꽂았으면 4번에, 2번에 꽂았으면 3번에)꽂으면 실수할 일이 없어진다.pinMode에서 INPUT_PULLUP은 아두이노 내부적으로 풀업저..

아두이노/기초 예제 2017. 1. 3. 16:05

아두이노 예제 1. LED 깜빡이기

LED(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한 발광 다이오드이다. LED는 일반적으로 2개의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긴 단자쪽이 +(애노드 ANODE), 짧은 단자쪽이 -(캐소드 CATHODE)라고 한다. 따라서 각 단자마다 극성을 가지고 있고, 긴 단자(애노드)에 +를 짧은 단자(캐소드)에 -전극을 연결하면 된다.전류가 지나치게 흐를경우 LED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항을 달아주는것이 좋다.저항을 고를 때에는 옴의법칙을 이용하여 저항을 선정한다. 옴의법칙V(전압)=I(전류)*R(저항)R(저항)=V(전압)/I(전류)I(전류)=V(전압)/R(저항)우리는 LED를 보호하기 위한 저항을 달아야 하므로, R = V / I를 사용하면, LED의 필요전압은 2V이며, 소모전..

아두이노/기초 예제 2017. 1. 3. 01:00
  • 이전
  • 1
  • 2
  • 3
  • 4
  • 5
  • 6
  • ···
  • 18
  • 다음

사이드바

CATEGORY

  • 전체보기 (107)
    • 공지사항 (4)
    • 아두이노 (33)
      • 기초 개념 (13)
      • 기초 예제 (18)
      • 프로젝트 (2)
    • C언어 (0)
    • IT Tip (47)
      • Skin Tip (6)
    • HW&SW제품 (23)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VISITOR

오늘
어제
전체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코딩런, ALL RIGHT RESERVED.
코딩런
블로그 이미지 코딩런 홈페이지
MENU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CATEGORY
  • 전체보기 (107)
    • 공지사항 (4)
    • 아두이노 (33)
      • 기초 개념 (13)
      • 기초 예제 (18)
      • 프로젝트 (2)
    • C언어 (0)
    • IT Tip (47)
      • Skin Tip (6)
    • HW&SW제품 (23)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